'Block Diagram'에 해당되는 글 1건
- 2012.05.14 쿼터스2 사용방법
MAX plus-2 인터페이스
1. 새파일 만들기
생성된 블록 다이어 그램을 통해 회로를 설계할 수 있다.
왼쪽의 AND gate 모양의 기호를 누르면 새 symbol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이 생성된다.
name에 input output 그리고 게이트 번호를 입력해서 원하는 게이트를 찾을수 있다.
게이트와 핀들을 연결시킨 다음에 컴파일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 핀 이름들을 변경해야한다.
심볼을 더블 클릭하면 속성 변경이 가능한데 거기서 Pin name을 입력 해줘야된다.
그리고 나서 저장을하고
MAX+PLUS2 -> Compiler 를 클릭하면
여기서 start를 누르고 컴파일이 완료되면 이런 창이뜬다.
start 버튼을 가끔 누를 수 없을때가 있는데 이럴때는 핀네임을 다시 입력하거나 다시 저장을 하거나 종료 했다가 다시 실행시키면 start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.
그리고 나서 MAX+PLUS2 -> Waveform Editor 을 클릭한다.
웨이브 폼 에디터에서 name 밑에 빈부분을 더블클릭하면 이런창이 나오는데
여기서 Node Finder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온다.
Pins: all로 설정하고 List를 클릭하면 왼쪽에 핀 네임들이 나온다
그 핀들을 클릭하고 오른쪽으로 옮긴다음 확인을 누른다.
그러면 이런식으로 웨이브 폼이 바뀐다.
왼쪽의 Zoom Tool을 사용하여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고
각 핀의 타임 바 부분을 드래그하여 입출력을 설정할수 있다.
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 실행
MAX+PLUS2 -> Simulator Tool 을 클릭한다.
시뮬레이션의 입력값은 미리저장한 웨이브 폼을 선택해줘야 한다.
시뮬레이션을 시작하고 완료이후에 Report를 누르면 결과 화면을 볼수 있다.
노드들을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하여 표기방법을 변경할수있다.
이렇게 하면 쿼터스를 이용하여 논리회로 실험을 해볼수 있다.